“ Kingfill®-7 : 인조잔디 충진재용(Chip) 가교폴리올레핀 탄성체 컴파운드 (CPOE)”
Kingfill®-7은 충격흡수성, 복원력, 내후성, 내열성이 우수한 가교 폴리올레핀 탄성체 컴파운드로 유해성이 없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입니다.
Kingfill®-7은 독일의 DIN규격과 한국의 KS규격을 만족하는 안전한 제품입니다.
항목 | 독일 (DIN 18035-7) |
KS (KS 3888-1) |
Kingfill®-7 1) |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s) | - | < 10 mg/kg | < 1 mg/kg |
유기휘발물질 총량 2) | - | < 50 mg/kg | < 1 mg/kg |
DOC (용존유기탄소농도) | < 20 mg/l | - | 3.5 mg/l 3) |
EOX (추출유기할로겐농도) | < 100 mg/l | - | < 3 mg/l 3) |
Toxicity(독성) | < 50 % | - | 0 % 3) |
금 속 | |||
납 (Pb) | < 0.04 mg/l | < 90 mg/kg | 검출되지 않음 |
카드뮵 (Cd) | < 0.005 mg/l | < 50 mg/kg | |
크롬 (Cr) | < 0.05 mg/l | < 25 mg/kg | |
수은 (Hg) | < 0.001 mg/l | < 25 mg/kg | |
아연 (Zn) | < 3.0 mg/l | - | < 0.04 mg/kg 3) |
주석 (Sn) | < 0.05 mg/l | - | 검출되지 않음 3) |
특성 | Kingfill-7 | 시험방법 |
---|---|---|
겉보기 비중, g/cm³ 2) | 0.59 | KS M ISO 60:2017 |
내열성(80˚C, 습도 50%, 168시간 이후 외관) | 변화 없음 | KS 3888-1:2018 |
내열성(100˚C, 168시간 이후 외관) | 변화 없음 | KS M ISO 188:2014 |
충격흡수성(%)3) | 63 | KLG-001 |
천연잔디 충격흡수성(%) | 63-67 |
Kingfill®-7은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고 있어 최소 5년동안은 물성변화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입자의 비산이 없는 제품입니다.
인조잔디 탄성 충진재는 복잡하고도 다양한 자연환경에서 사용됨에 따라 제품수명에 나쁜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태양광 중의 적외선, 계절에 따른 다양한 온도변화, 공기 중의 산소와 오존, 습도와 비에 의한 수분 등은 인조잔디는 물론 탄성 충진재에도 나쁜 영향을 미쳐 점차 특성을 나쁘게 하여 마침내 기능을 상실하게 합니다. 이런 결과로 탄성 충진재는 충격흡수성과 복원력을 상실하고 제품수명이 극히 짧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특히, 내후성이 나쁘면 충진재의 구성성분인 수지가 분해되어 다른 구성물질과 분리되어 가루가 비산되어 호흡기질환의 심각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Kingfill®-7은 자연상태에서 약 5년의 자외선(UV) 조사시간에 해당하는 5000시간 UV TEST를 통과하였습니다
Labosport 내후성 평가 결과
고분자 물질의 가교 정도와 수준은 열간 신장률 (Hot/Set) 변화를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Hot/Set 평가는 국제적인 평가규격에 따라 일정한 온도 (200℃)를 유지하는 오븐 속에서 측정시료의 끝에 일정한 인장하중 (20N/㎠)를 걸은 후에 20분 동안 늘어난 길이를 측정합니다. 가교가 많이 될수록 Hot 값은 낮아지는데 이는 그만큼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참조로 약 20년의 수명을 보장하는 전선용 케이블의 국제적인 합격 기준의 Hot값은 175% 이하입니다.
Kingfill®-7은 약 100% 이하의 Hot값을 유지하여 매우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계절에서도 사용 중에 충진재의 형태 변화가 적고, 서로 융착 (compaction) 되는 현상이 없어 안정적이고 일정한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합니다.
Hot Set Tester
Kingfill®-7은 인체에 무독성인 폴리올레핀 탄성체를 기본수지로 하기 때문에 중금속과 각종 유해물질이 없고 여름철의 높은 기온조건에서도 자극적이고 나쁜 냄새가 없습니다.
Kingfill®-7은 인조잔디 사용 중에 충진재가 쉽게 흩어져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과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 특별히 설계된 내부구조로 충격흡수와 탄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뛰어난 저온유연성과 내열성으로 넓은 사용온도에서 변화 없는 특성을 나타냅니다.